콘텐츠 본문으로 바로 이동
left
번호 제목 작성자
163 대안학교를 만나다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po***

대학교 입시위주의 공교육에서 벗어난 대안교육의 형태가 궁금해서 연수를 신청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대안교육 유형을 보면서 '공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자신의 입신양명을 위한 인서울 대학교입학을 학교교육의 목표로 두는 많은 공교육에 비해,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을 직업의 좌표로 삼는 평민의 학교가 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162 잘 들었습니다.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gh***

잘 들었습니다.

161 갇혀있던 시각을 열어주는 듯한 연수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mh***

학교에서 늘 보는 것만 보고 듣는 것만 듣고 지냅니다.

이렇게 간접적으로나마 특별한 대안학교와 다른 학교들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어서 참 감사했습니다.

교사로서의 어떤 자극을 참 많이 받게 된 연수였습니다.

160 감동과 존경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wo***

공교육에 몸담은지 30여년이 지났는데 교육에 대한 열정은 식고 자신감은 줄고 보람을 찾기가 어려우며 자존감도 낮아졌습니다. 공교육기관 교사들이 모두 열심히 하지만 공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학생들이 많아짐에 공교육에 대한 의구심이 들고 변화에 대한 절박함이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2년 전부터 대안학교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공교육 안에서 보이지 않던 것이 대안학교들에서 보이는 것 같아 몇 차례의 연수를 수강하였었습니다. 이제 조금 알 것 같기도 합니다. 앞으로 적용하고 실천하는 일이 중요할텐데 힘내어 보겠습니다.

알찬 연수 준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대안학교에 몸담고 계신분들의 열정과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존경합니다.

159 대안학교 교육과정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li***

대안학교에서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 지 알고 싶었습니다. 여러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며 아이의 속도에 맞게 계획을 세우고 도움을 주고 작은 성취에도 함께 기뻐하는 것을 보며 공립학교도 무학년제 운영이 가능할 수 있기를 꿈 꿔 봅니다.

158 공들여 만든 연수 잘 보았습니다.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lp***

저는 자녀가 공동육아어린이집에 다니고 있지만 대안학교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어린이집에서 부모교육 중 발도르프 습식 수채화를 배우게 되었는데

공교육에서도 이와 같은 교육을 접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공교육을 하고 있지만 대안학교의 좋은 점을 많이 배워서 적용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 연수를 신청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오랜 시간 전국의 대안학교를 다니며 공들여 만든 연수인 만큼

내용도 풍성하고 궁금했던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어 만족스러운 연수였습니다.

대안학교에도 한계점이 있다는 것을 느꼈고, 공교육에 대안학교의 장점을 어떤 방식으로 적용하면 좋을지

연수를 통해 고민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방대한 내용을 30차시 연수로 엮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겠지만

영상들의 길이가 조금 길어서 군데군데 스크롤을 넘겨가면서 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자녀가 학령기에 접어들어 저도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사이에서 고민하게 된다면

꼭 다시 보고 싶은 연수가 될 것 같습니다.

157 연수 후기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sa***

대안학교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 있는 연수였다.

156 대안학교에 대해서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cj***

평소 잘 알지 못했던 대안학교에 대해서 새롭게 알게 된 좋은 기회였습니다.

155 학교의 대안을 찾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sm***

대안학교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학교 방향성이나 수업 계획 등에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154 교육적 상상력이 더욱 필요함을 느끼다.
실험과 상상의 학교, 대안학교를 만나다-직무
wi***

교사가 자신의 위치에서 교육적 상상력을 발휘하기 위해선 보다 많은 열정과 연구와 실험과 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특히 우리 학교의 교육공간과 교육철학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