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후기 과정별 연수후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
---|---|---|---|
47226 | 자존감을 키워주는 방법
[상시연수]공부를 공부하다-직무 |
su*** | |
아이의 자존감을 어떻게 키워줘야 할까? 손석한 전문의는 아이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에게 관심을 갖고 ‘맞다’, ‘잘하고 있다’, ‘괜찮다’ 하는 인정과 칭찬, 격려가 필수다. “단순히 멋지다, 똑똑하다와 같은 식의 칭찬이 아니에요. 아이가 납득할 만한 한 이유여야 하고 결과가 나타나기까지의 과정이나 노력에 대해 칭찬해줘야지요. 칭찬할 게 없어 보이는 말썽꾸러기도 마찬가지다. |
|||
47225 | 아이의 마음을 읽는 영화 직무연수를 이수하고 나서
아이의 마음을 읽는 영화-직무 |
su*** | |
아이의 마음을 읽는 영화 직무연수를 재미있게 이수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7224 | 쉬엄쉬엄 편안한 연수입니다
교사가 지치지 않는 독서교육-직무 |
do*** | |
쉬엄쉬엄 편안하고 재미있게 받을 수 있는 독서연수입니다. 삶이, 이렇게 편안하게 진행되면 행복할 것 같습니다. 후기는 꼭 강의를 다 듣고 쓰는것이 아니라는 생각해서 쉬엄쉬엄 들어와서 쓰고 있네요^^^ 선생님의 웃는 얼굴이 소리를 듣지 않아도 무슨 말을 하시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독서는 강조하지 않아도 매일 매일 독서하면서 배워가는것 같아요. 동료교사와의 대화속에서, 오늘도 점심먹고 툭 던지 옆 동료의 말 한마디가 울림이 되어 들려오네요. 독서교육 토론이란 형식이나 모형이 굳히 중요한것이 아니라. 대화나 소통속에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훈훈함과 편안함이 울림이 되어 다가오면 더 이상의 바램이 없을 것 같아요. 오늘 하루도 학생들과 동료와 소통으로 이어지는 재미있고 행복한 릴레이 연수, 여행이 되길 바랍니다. |
|||
47223 | 여러가지 형태의 마을교육공동체
마을의 가치, 학교와 같이-직무 |
th*** | |
각 지역의 우수사례를 접해봄으로써 여러가지 형태의 마을교육공동체를 학습할 수 있었다. |
|||
47222 | 감사합니다.
[상시연수]배움의 공동체, 수업디자인-직무 |
sa*** | |
감사합니다. |
|||
47221 | 나는 어떤 교사일까?
교사, 삶에서 나를 만나다-직무 |
ha*** | |
그동안 쉼없이 달려왔는데, 연수를 통해 나는 어떤 교사일까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나의 삶과 주제의식은 무엇이었는지, 무엇을 강조했는지, 다시한번 되새겨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
|||
47220 | 몸동작으로 함께 놀기
쨍쨍의 세계여행이야기-여행이 그대를 자유롭게 하리라-직무 |
ky*** | |
전세계 어디서나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몸동작으로 함께 활동하면서 소통할 수 있음을 알게 되고, 내가 먼저 관심을 가지고 다가서고자 하는 마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
|||
47219 | 연수후기
PBL수업 실천 공식-직무 |
so*** | |
막연하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몰랐는데 강의를 통해 용기를 얻었고, 학교 수업에 적용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2학기 방학 전에 꼭 실시해보려고 합니다. 좋은 강의 마련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7218 | 회복적 생활교육과 비폭력대화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직무 |
ji*** | |
평소 말하기 습관은 인간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어릴 때 부터 학습된 습관이 아이들이 사회인으로 성장하고 나서의 모습을 결정한다는 것 또한 익히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비폭력 대화와 대화모임 연습을 통해 상대와 적절한 거리에서 충분하고 깊이 있게 대화함으로써 폭력을 배제하고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앞으로 비폭력 대화를 생활화하여 평화적인 교실 분위기를 형성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47217 | 올해 4년차 마을교사
로컬에듀, 혁신교육과 마을교육공동체를 잇다-자율 |
go*** | |
올해로 4년차 마을교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마을교육과정과 협력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 마을교육의 어떠한 독특함이라든지 연결고리에 많은 고민도 하게되었습니다. 걱정반으로 시작한 마을교사가 한 해 한해 아이들의 생생한 현장에서의 반응을 직접 느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 사례과 강의를 듣고 나니 마을교육에 대한 책임감과 열정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