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본문으로 바로 이동
left
번호 제목 작성자
156 학습에 대한 새로운 인식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el***

비고츠키의 비계설정은 너무나 유명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고츠키에 대해 이해한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비고츠키에 대한 상황학습론에 대해 조금 더 읽어보았다고 했지만 그건 결국 수박 겉핧기였을 뿐이었다. 대학 강의실에서나 들을 수 있을 것 같은 강의를 온라인 강의를 통해서 편하게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짧은 기간 안에 들어야 해서 건너뛰는 부분이 꽤 있어서 아쉽다. 박동섭 교수님의 구수하면서 귀에 착착 들어오는 강의를 방학동안 천천히 다시 들으며 주류심리학에서 말하는 학습이론에서 인식을 전환하여 새로운 학습론을 바탕으로 새학기에 아이들을 대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싶다.
155 새로운 도약대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km***

교직 20년에 새로운 도전과제를 제시받은 듯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154 생각의 틀을 보게 되었어요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go***

교직을 하면서 저도 모르게 많은 틀과 구분이 있었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제 생각의 기반 자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53 비고츠키를 다시 한 번 만나며..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tc***


임용공부를 할 때 잠시 스쳐지나가듯이 만났지만 인상깊었던 비고츠키였습니다.

연수로 다시 만날 수 있게 되어 참으로 즐거운 시간이였습니다.

강의가 이론 위주가 아닌 다양한 주제와 학습내용으로 진행되어 재미있게 수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좀 더 심화있는 비고츠키 내용으로 다시 한번 연수를 듣게 되길 희망합니다.
152 관념을 바꾸는 것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el***

교직사회라는 공간속에 살아가면서 다양한 이유로 현실과 타협하고 살아간다. 외롭고 싶지 않아서, 인정받고 싶어서, 그들처럼 보이고 싶어서 등등. 10년 이상 교직생활을 하다보니 나와 비슷한 행동을 하지 않는 후배교사들이 조금 이상하게 보인다. 다른 학교에서 우리학교로 전근온 선생님도 조금 이상하다.
이런 생각을 되짚어보니, 나는 고정관념에 쌓인 존재였다는 생각이든다. 이 연수를 통해 관념과 디자인된 현실 언어게임 패권등의 용어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 그들이 전수해준 현상을 적응이라는 언어로 받아들이게 된다면 나역시 지금의 교육수준에서 탈피할 수 없으리라는 반성이다.
인간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151 비고츠키의 입문을 위해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sm***

처음에는 교수님의 설명도 어렵고 내용도 어렵고 비고츠키는 정말 힘든 공부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영화속의 비고츠키등 재미있는방법을 많이 사용하기도 하는 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비고츠키 자체가 뒤로 갈수록 흥미롭고 배우고 싶어집니다.
150 새로운 관점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ea***

학습과 개성, 언어 등 그동안 내가 옳다고 생각했던, 행동했던 많은 것들에 대한 반성의 시간이었던 같습니다. 개성에 대한 비고츠키의 관점이나 개인의 심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 과학의 객관성이나 합리성이라는 그동안 내가 좋아하고 용어들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접하게 되어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그러나 나와 생각이 다르고 이해할 수 없는 학생들을 바라볼 때 좀 더 수용의 태도로 그들을 접할 수 있을 거라는 막연한 자신감이 생긴 것 같습니다.
149 비고츠키의 눈으로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bb***

학습에 대해 수업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보게 된 것 같다. 특히 교육적 신념으로 옳다고 생각했던 많은 것들이 잘못된 것 일 수 있다는 의문이 들게된 계기가 될 것 같다. 좀 더 공부를 해야 무엇인지 확실해 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148 생각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el***

생각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좋은 연수였습니다.
147 인간과 사회에 대하여 고민해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ha***

이제껏 너무 학생 개개인에만 촛점을 맞추고 나의 기준을 만들어 아이들을 재단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고 아이들에 대하여 왠만큼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정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시 한 번 새로운 마음으로 개인과 사회를 생각해 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