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후기 과정별 연수후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
---|---|---|---|
196 | 인간학으로서 비고츠키의 심리학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ki*** | |
인간의 존재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먼저하는 부분에서 매우 감명깊었으며 앞으로의 교육과 탐구의 중요한 방법론을 얻었다는 생각이 든다. 수업의 장면에서 학생의 반응을 어떻게 판단하고 대응할 것인가가 수업의 중요한 국면이라는 생각이 든다. |
|||
195 | 강의후기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on*** | |
심리학에 대해 지극히 주류심리학적 관점에서만 학습 받아왔다는 사실을 이번 강의를 통해 깨닫게 되었다. 매우 신선한 강의였으면 조금더 깊게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
|||
194 | 디자인된 현실 속의 자아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bl*** | |
지금까지 나의 가치관은 개성적이고 주관적인 것으로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아니라는 것을 연수를 통해 알게 되었다. 나는 디자인된 현실 속에서 만들어진 개체에 불과하였다. 나의 사회, 문화적 배경이 나라는 존재를 만드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을 할 때 나는 더 이상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었다. 나와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다른 아이들에게 나의 가치관을 강요하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말아야 되겠다. 아이들은 나와는 다른 존재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거 같다. |
|||
193 | 새로운 눈으로 아이들 바라보기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bl*** | |
새로운 시각으로 아아들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준 직무연수였습니다. 교사와 아이들은 자라온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르다는 생각으로 앞으로는 학생들을 이해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되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
|||
192 | 어렵지만 좋은 연수였습니다.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as*** | |
비록 모든 연수 과정을 완벽하게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학부때 철학 강의에서 느꼈던 심오함과 진지함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 자신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질문을 던져준 연수였습니다. |
|||
191 | 한국교육에 대한 도전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si*** | |
이데올로기 속에 살아가는 우리, 그리고 조직의 기준과 잣대로 평가되는 한국교육 비고츠키는 아직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알듯 말듯... 하네요. 개인을 바라보는 관점. 아이들을 읽는 눈, 총체적인 이해, 다양성에 대한 이해. 이젠 교육, 문화, 과학도 정치 경제라는 관계속에서 보는 안목도 길렀습니다. 특히 구성주의에 대한 접근방식의 변화. 닥터진 이야기는 솔솔 재미있었습니다. 책을 더 읽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
190 | 근본적 물음에 대한 답을 찾다..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ho*** | |
교육을 하면서 가졌던 근본적인 물음들.. 협동을 꼭 해야하는지? 학생을 진단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등 학생 자체에 대한 생각과 교육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
|||
189 | 연수를 마치며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di*** | |
비고츠키를 사회적 구성주의, 협력학습, zpd와 같은 몇 가지 용어로 접해왔다. 익숙하다고 생각했던 비고츠키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는 연수였다. 그리고 평소에는 외면해왔던 질문들,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은 어떻게 발달하는지, 어떠한 존재인지, 그렇다면 학교에서의 교육의 목표와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었다. |
|||
188 | 비고츠키 연수를 마치며....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ch*** | |
비교적 old한 세대인지라 비고츠키에 대해서는 잘 몰라서 연수 내내 좀 힘들었어요. 학교다닐 때 삐아제 교육 철학은 많이 들었는데 비고츠키는 저에겐 무척 생소해서요. 가장 기억에 남는 내용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 관한 거였어요. 수능이라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 아이들의 배움을 내 마음대로 재단해 버린 것 같은 씁쓸함....... 어려웠지만 그래서 더 많이 생각하고 고민하고 느낀 연수였습니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관계라는 사회문화적 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듯이 우리 아이들의 학습도 관계라는 구조속에서 이해되어져야 하는 것도 느꼈구요. |
|||
187 | 처음 접한 비고츠키^^
비고츠키의 인간철학과 또 하나의 심리학-직무 |
le*** | |
비고츠키 보다는 인간철학...이라는 제목에 매력을 느껴 연수 신청하였습니다. 내용이 생소했기 때문에 다른 어떤 연수 보다도 열심히 노트까지 하며 공부했습니다.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인식하고 나의 사고를 되돌아 보게 되었으며, 교실 속에서의 의 아이들의 마음과 행동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을 반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참! 유익하고 소중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