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강신청 > 과정상세
[전문학습공동체] 배움중심수업
자율
-
수강신청 요약 연수종별 원격 자율 관련도서 자세히보기 ▼ 연수시간 12시간 (원격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현장연수, 도서 시간 미포함) 연수비 50,000원→ 40,000원 (2회이상)강사명 이명섭 할인율 * 개인: 신규 10% / 2회부터 20%
* 단체: 3인~ 20% / 5인~ 30% / 10인~ 40%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과정 정보를 찾고 계신가요? (클릭!) 로그인 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년도 | 기수 | 신청기간 | 교육기간 | 이수처리일 | 신청 |
---|---|---|---|---|---|
2018.02.13(화)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
- * 본 과정은 에듀니티 행복한연수원(교육부 인가번호 제 11-02호)의 자율과정입니다.
연수 개요
* 개요
배움중심수업 학습공동체는 교사의 자발성과 동료성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수업 연구와 교사 개인의 고민과 교육성찰을 나누는 학습공동체이다.
10개의 배움중심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교사의 다양한 수업경험을 공유하면서 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고
다양한 학습자중심 수업 연구와 학년 및 교과를 통합하는 융합수업 연구까지 진행이 가능하며 배움중심수업을 중심으로 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활성화 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 목표
1. 배움중심수업의 다양한 경험을 나누며 수업개선 및 학교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2. 배움중심수업 실천을 위한 교사의 철학과 성찰을 나누며 공동체 안에서 소통과 협력의 의미를 탐색할 수 있다.
* 대상
전국의 초/중/고 교사학습공동체
* 구성(총 19시간)
① 온라인연수(12차시)
② 현장연수(4시간)
③ 도서 1권(3시간)
④ 학습자료(PDF)
* 도서는 단체대표선생님 학교로 일괄 배송됩니다.
> [② 현장연수], [③ 도서] 시간 인정은 지역 시도 교육청 별로 상이합니다.
배움중심수업 학습공동체는 교사의 자발성과 동료성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수업 연구와 교사 개인의 고민과 교육성찰을 나누는 학습공동체이다.
10개의 배움중심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교사의 다양한 수업경험을 공유하면서 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고
다양한 학습자중심 수업 연구와 학년 및 교과를 통합하는 융합수업 연구까지 진행이 가능하며 배움중심수업을 중심으로 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활성화 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 목표
1. 배움중심수업의 다양한 경험을 나누며 수업개선 및 학교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2. 배움중심수업 실천을 위한 교사의 철학과 성찰을 나누며 공동체 안에서 소통과 협력의 의미를 탐색할 수 있다.
* 대상
전국의 초/중/고 교사학습공동체
* 구성(총 19시간)
① 온라인연수(12차시)
② 현장연수(4시간)
③ 도서 1권(3시간)
④ 학습자료(PDF)
* 도서는 단체대표선생님 학교로 일괄 배송됩니다.
> [② 현장연수], [③ 도서] 시간 인정은 지역 시도 교육청 별로 상이합니다.
원격연수
과정명: 재미와 게임으로 빚어낸 신나는 프로젝트학습
16. [사례] 프로젝트학습, 준비부터 실천까지 - 초등사례
- 프로젝트학습, 초등학교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17. [사례] 문제개발에서 수업설계와 실천까지 - 통합사례
- 프로젝트학습, 준비부터 실천까지
18. [사례] 프로젝트학습, 준비부터 실천까지 - 중등사례
- 프로젝트학습, 중학교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22. [교실탐방] 에코시티 프로젝트
- 에코시티 프로젝트 알아보기
과정명: 자유학기 수업을 디자인하다
03. [국어교과] 수업 형식의 변화가 주는 힘!
- 배움을 삶과 연결하는 이선희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 배움을 재미와 연결한 안윤주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04. [영어교과] 수업과 현실세계의 연결고리!
- 진짜 세상과 만나는 영어 수업을 실천하는 김희정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09. [과학교과 ] 우리는 우리의 실험을 직접 설계한다!
- 아이들을 믿고 기다려주는 서정욱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11.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주제중심융합수업 들여다보기
- 주제중심융합수업이란?
-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실현 가능성
과정명: 초등참사랑의 교실 속 토론이야기
14. 교실에서 토론하기
- 교실토론의 한계
- 교실토론의 유의점
- 교실토론의 절차
15. 다양한 교실토론 Ⅰ - 1:1 토론, 2:2 토론
- 1:1 토론
- 1:1 토론의 실제
- 2:2 토론
19. 교실토론, 나도 할 수 있어 Ⅰ
- 토론 동아리 운영: 1학기
- 토론 동아리 운영: 2학기
20. 교실토론, 나도 할 수 있어 Ⅱ
- 교실 토론 운영 사례
- 토론 활동지 및 글쓰기 사례
16. [사례] 프로젝트학습, 준비부터 실천까지 - 초등사례
- 프로젝트학습, 초등학교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17. [사례] 문제개발에서 수업설계와 실천까지 - 통합사례
- 프로젝트학습, 준비부터 실천까지
18. [사례] 프로젝트학습, 준비부터 실천까지 - 중등사례
- 프로젝트학습, 중학교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22. [교실탐방] 에코시티 프로젝트
- 에코시티 프로젝트 알아보기
과정명: 자유학기 수업을 디자인하다
03. [국어교과] 수업 형식의 변화가 주는 힘!
- 배움을 삶과 연결하는 이선희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 배움을 재미와 연결한 안윤주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04. [영어교과] 수업과 현실세계의 연결고리!
- 진짜 세상과 만나는 영어 수업을 실천하는 김희정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09. [과학교과 ] 우리는 우리의 실험을 직접 설계한다!
- 아이들을 믿고 기다려주는 서정욱 선생님의 수업 디자인
11.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주제중심융합수업 들여다보기
- 주제중심융합수업이란?
-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실현 가능성
과정명: 초등참사랑의 교실 속 토론이야기
14. 교실에서 토론하기
- 교실토론의 한계
- 교실토론의 유의점
- 교실토론의 절차
15. 다양한 교실토론 Ⅰ - 1:1 토론, 2:2 토론
- 1:1 토론
- 1:1 토론의 실제
- 2:2 토론
19. 교실토론, 나도 할 수 있어 Ⅰ
- 토론 동아리 운영: 1학기
- 토론 동아리 운영: 2학기
20. 교실토론, 나도 할 수 있어 Ⅱ
- 교실 토론 운영 사례
- 토론 활동지 및 글쓰기 사례
현장연수
- 일시: 2018.07월 ~ 08월 중 1회
- 장소: 미정
- 주제: 배움중심수업 이론과 설계
- 강사: 이명섭
- 내용:
1. 배움중심수업 이론(강의)
2. 배움중심수업 설계(강의/실습)
* 프로그램당 인원 수와 밀집 지역에 따라 강의 횟수와 장소는 달라질 수 있음
- 장소: 미정
- 주제: 배움중심수업 이론과 설계
- 강사: 이명섭
- 내용:
1. 배움중심수업 이론(강의)
2. 배움중심수업 설계(강의/실습)
* 프로그램당 인원 수와 밀집 지역에 따라 강의 횟수와 장소는 달라질 수 있음
다운 자료
로그인 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명섭
*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교사동아리 운영진
* 경기 나루고 수석교사
*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교사동아리 운영진
* 경기 나루고 수석교사
[전문학습공동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천편 ( 이명섭, 김학미, 이윤진, 정윤리, 최미현, 고은정, 고민성 저)
정가 : 16,500 원
(전문학습공동체 수강신청시 증정)
* 책소개
일체화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록을 하나로 엮어내기 위한 고민과 노력의 교실 사례
기본적이고 원칙적인 교육시스템으로의 회귀
교육과정, 수업, 평가는 모두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무엇을 가르칠지 교육과정을 확인하여 재구성하고, 그렇게 재구성한 것을 바탕으로 수업하고, 다시 그 수업한 내용을 가지고 평가해야 한다. 매우 당연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각기 분절적으로 이루어졌다. ‘교육과정 따로, 수업 따로, 그리고 평가 따로’였던 것이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활동은 서로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일상이어야 한다. 그래야 교실이, 학교가 살아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교육내용)과 수업, 평가 그리고 기록을 구슬에 꿰듯 하나로 엮자는 것이 바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이하 일체화)이다. 일체화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그동안 왜곡되고 파행적으로 이루어진 교육행태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다. 올해 초 출간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에서는 ‘일체화’ 무엇이며, 왜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소개했다.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록을 하나로 엮어내기 위한 고민과 노력의 교실 사례
기본적이고 원칙적인 교육시스템으로의 회귀
교육과정, 수업, 평가는 모두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무엇을 가르칠지 교육과정을 확인하여 재구성하고, 그렇게 재구성한 것을 바탕으로 수업하고, 다시 그 수업한 내용을 가지고 평가해야 한다. 매우 당연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각기 분절적으로 이루어졌다. ‘교육과정 따로, 수업 따로, 그리고 평가 따로’였던 것이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활동은 서로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일상이어야 한다. 그래야 교실이, 학교가 살아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교육내용)과 수업, 평가 그리고 기록을 구슬에 꿰듯 하나로 엮자는 것이 바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이하 일체화)이다. 일체화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그동안 왜곡되고 파행적으로 이루어진 교육행태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다. 올해 초 출간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에서는 ‘일체화’ 무엇이며, 왜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소개했다.
[전문학습공동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일체화 ( 김덕년 저)
정가 : 15,000 원
(전문학습공동체 수강신청시 증정)
* 책소개
학생 중심으로 수업하고, 수업 활동을 관찰·평가하고, 학생의 성장 과정을
기록하는 것이 교실과 학교를 바꾸고 아이들을 살린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처음에는 낯선 용어였지만, 교사들은 물론 교육부에서도 사용할 정도로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다. 길고 복잡해 보이는 것과 달리 사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는 간단하다. 교육과정(교육내용)과 수업, 평가 그리고 기록을 구슬에 꿰듯 하나로 엮자는 것이다. 이 책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가 무엇이며,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알려준다.
기록하는 것이 교실과 학교를 바꾸고 아이들을 살린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처음에는 낯선 용어였지만, 교사들은 물론 교육부에서도 사용할 정도로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다. 길고 복잡해 보이는 것과 달리 사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는 간단하다. 교육과정(교육내용)과 수업, 평가 그리고 기록을 구슬에 꿰듯 하나로 엮자는 것이다. 이 책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가 무엇이며,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