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후기 과정별 연수후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
---|---|---|---|
660 | 상처받는 교사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ks*** | |
학기중에는 공감피로 상태를 겪는 나 자신을 느낀다. 수업중 학생들에게 규칙대로만 대하거나 또 다른 갈등을 더하고 싶지 않아 눈감아버리기나 익명화하기 등의 방법을 쓴다. 나를 재중천하여 여유를 찾기위한 방법을 누구나 갖고 있어야 한다. |
|||
659 | 교실안의 여러 구성원들을 두루 살피고 고려하고 배려하는 교사되기.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ks*** | |
교실을 구성하는 인적요소인 학생과 교사 모두를 잘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하는 기회가 된 연수였습니다. 다양한 사정과 아픔을 지닌 학생들을 바르게 바라보고 각자에게 맞는 처방을 내려 전인적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무엇보다 교사 스스로 정서적으로 잘 조화되고 균형잡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스로를 잘 살피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
|||
658 | 연수 잘 받았습니다.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is*** | |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 연수 잘 받았습니다. |
|||
657 | 교실 심리 연수 후기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os*** | |
강의를 들으며 힐링이 되는 연수였습니다. 특히 교사는 왜 지치는가? 상처 받는 교사에서 치유하는 교사로의 연수를 감명 깊게 들었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서 저를 돌아 보았씁니다. 저는 레슬링 하는 교사 였던 것 같습니다. 강의를 듣고 꼭 그런 역할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좋은 수업이란. 교사란 학생들과 어울어져 화합하는 한 편의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다는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그런 교사가 되어야 겠습니다. 상처 받은 아이들만 지도하느라 정작 제 상처는 돌아보지 못했습니다. 강의 속에서 제가 많이 지쳤고 우울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씁니다. 문제를 알았으니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겠지요? 열심히 살아 보겠습니다. 상처받는 교사에서 상처를 치유하는 교사가 되겠습니다. |
|||
656 | 많이 배웠습니다.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ze*** | |
요즘 코로나 때문에 학생들의 학력이 너무나 저조합니다. 진단평가 결과도 그렇구요 그러던 중에 이 연수가 참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학생의 입장에서 다시 한번 더 생각하게 해 주어 참 감사합니다. |
|||
655 | 기존의 나를 되돌아 보는 시간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lh*** | |
예전부터 해왔던 나의 고정된 생각이 얼마나 진부한 것인지를 알게 된 시간이었다. 바뀐 교실내의 환경과 아이들의 성향을 잘 파악하고 그에 따라 나의 교육에 프레임을 다시 짜서 학생과 공감 소통하는 교육을 임해야 겠다. |
|||
654 | 기대보다 의미있는 연수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os*** | |
알고는 있었지만 행복교실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었어요 |
|||
653 | 연수 잘 받았습니다.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my*** | |
학생 중심의 문제 상황을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배우고 갑니다. 아울러 교사가 겪을 수 있는 학교내 제반 문제를 유형화하여 대할 수 있는 도움을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652 | 나를 돌아보는 계기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h8*** | |
많은 것을 생각하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교사소진'에 대하여 생각을 하면서 연수의 필요성도 더욱 느꼈습니다. 신규나 저경력교사의 컨설팅 시간에 교실을 지배하는 무의식과 교사소진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는데 의미있고 좋았습니다. |
|||
651 | 좋은 연수 감사합니다.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직무 |
bl*** | |
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이라는 연수 제목부터 저에게 많은 질문과 생각을 던져 준 연수였습니다. 교사가 생각하는 교실과 아이들이 생각하는 교실의 차이가 다르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는 있었지만, 그동안 무심히 지나갔던 저의 행동을 후회했습니다. 그러면서 신규 교사 시절에 다짐했던 교사가 지녀야 할 자세에 대해 다시금 새로운 마음의 각오를 다질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가정 상황의, 다양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을 만나면서 때로는 힘들고 지칠 때가 많았습니다. 긍정심리학을 통해 앞으로는 먼저 저부터 긍정적인 자세로 아이들을 만나고자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