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후기 과정별 연수후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
---|---|---|---|
47516 | 1년 전에 수강했었더라면..
[상시연수]온·오프 수업, 교사 실재감이 답이다-직무 |
es*** | |
하는 개인적 아쉬움이 드는 연수였습니다. 온라인 수업이 과거의 것처럼 여겨지는 때이긴하지만 수업에 대한 방향성, 학생에 대한 고민에 대한 답으로 교사 실재감이란 것을 고려할 수 있는 연수였습니다. |
|||
47515 | 일상의 행복에 대하여
행복한 교사로 살기 위한 교사 치유심리학 : 희망의 교사!-직무 |
he*** | |
학생, 학부모, 동료들과의 관계, 수업지도 상황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사건을 긍정적 시각으로 해석하고 실천해야 한다. 가정, 학교에서 규칙적인 일상을 차곡 차곡 채워나가면서 소소하고 소박한 행복거리를 찾아내야 한다. 지금의 상황을 긍정하고 감사하는 생활을 만들어가야한다. |
|||
47514 | 교육과정의 주체로 서는 길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 한국 교육을 움직이는 20가지 키워드 1(15시간)-직무 |
ap*** | |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역량이 있고 사회의 변화에 민감하고 바라보고 중요한 키워드를 알아야 교육과정의 주체로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고 아이들에게 중요한 교육과정을 만들 수 있다. 이번 연수는 교과 교육과정의 주체로서 관심을 가져야 할 방향을 알 수 있었다. |
|||
47513 |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교실생존비법: 블렌디드 수업 노하우 대방출(중등)-직무 |
ak*** | |
거꾸로수업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감이 좀 더 오는 연수여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47512 | 친절하고 단호한 교사되기
[상시연수]PDC 공감 멘토링 - 교실에서 답을 찾다-직무 |
kl*** | |
현장에서 이 배움을 어떻게 잘 적용해야할까 친절하고 단호한 교사되기는 쉽지 않은 일인데 이 배움을 함께 배워서 함께 가는 동료가 있었으면 좋겠다 선생님들께 추천하여 전학공으로 pdc을 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배움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ㅣ |
|||
47511 | 음악 수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음악여행]음악으로 성장하는 교사, 행복한 아이들-직무 |
as*** | |
평소 다른 학교로 찾아가지 않는 이상 다른 선생님의 음악 수업을 볼 기회가 없었는데 연수를 통해 다른 선생냄들이 음악을 지도하시는 수업 영상을 보면서 배울 점이 참 많았습니다. 음악 교육의 철학에 대해 고민하게 하고 교수법과 함께 연관지어서 지도 방법의 뿌리에 대해 알 수도 있었습니다. 실음 중심, 활동 중심으로 저의 음악 수업도 조금씩 변화시키고 싶습니다. |
|||
47510 | 공감능력 키우기
[상시연수]PDC 공감 멘토링 - 교실에서 답을 찾다-직무 |
gu*** | |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
|||
47509 | 더 연구하고 참고하여 내 수업에 적용해 보고싶다.
[상시연수]배움의 공동체, 수업디자인-직무 |
kg*** | |
수업은 내게 항상 큰 고민이자 숙제였고 갈수록 많아지는 업무와 학생생활지도의 어려움까지 더해지자 이제 교직을 떠나야하나 고민을 하며 더더 수업관련 고민을 하고 자료를 찾던 중 배움의 공동체를 알게되어 큰 도움이 되었다. 첫걸음을 떼었지만 더 연구하고 참고하여 내 수업에 적용해 보고싶다. |
|||
47508 | 수업 디자인에 대하여 알게 된 연수
배움의 공동체, 수업디자인-직무 |
am*** | |
그동안 수업 디자인이 아닌 수업 계획만 세우고 있었다는 반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평가또한 교과별로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음을 선생님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알수 있었습니다. 또한 과정 중심의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 지기 위하여 어떻게 평가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물음에 해답도 어느정도 가져갈 수 있었던 연수였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47507 | 동료 교사들과 함께 해보겠습니다!
학교 자치, 학교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첫걸음-직무 |
ny*** | |
교사로서 학생들에 대한 교육을 함에 있어 가져야할 학력관에 대해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좋은 성적, 좋은 학교, 좋은 직업...이러한 식의 개인적인 성공을 위한 지식 암기식의 공부로부터 탈피하여 다른 이들과 더불어 잘 살아갈 수 있는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경험하고 체득하는 학교 교육을 동료 교사들과 함께 만들어 가 보고 싶습니다. 이 연수의 내용을 발판 삼아 전문적학습공동체 시간을 통해 동료 교사들과 교육철학을 나누고 교육관을 공유하며 학교가 처한 상황에 대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집단지성으로 함께 헤쳐 나가 볼 수 있겠습니다. 결손, 결핍, 더딤, 부적응 학생들에 대한 내용이 매우 마음 깊이 와 닿았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동료 교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이 있을지 의견을 나누고 싶습니다. 연말 대토론회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힌트를 얻었습니다. 올 한해를 성찰하며 내년에는 좀 더 잘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듭니다. 연수에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욕심내지 말고 천천히 조금씩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보려 합니다. 연수를 통해 교사로서 배움과 깨달음이 있었고 몰랐던 부분들에 대해서, 그리고 잘 안되었던 부분들에 대해서 나와 뜻을 같이하는 동료 교사들을 찾아 다시 해보고 싶어지는 충전된 제 마음을 봅니다. 이 연수를 준비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