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본문으로 바로 이동
left
번호 제목 작성자
48677 사교육전문가가 말하는 공교육의 중요성
[상시연수]공부를 공부하다-직무
ba***

내 스스로가 공교육에 몸담고 있으면서도 사교육의 환상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사교육 전문가로서 정점을 찍고 시민단체에서 일하신다는 강사의 이력이
궁금증을 자극해서 연수를 수강하게 되었다

아... 그렇구나
공교육, 학교가 이렇게 중요한 곳이었지. 다시한번 상기하게 되었다

그리고 학교와 가정에서 아이들이 정말 교실에세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지를 해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48676 회복적 생활교육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직무
iy***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 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
기법이나 방법이 아닌
교육 철학과 사랑과 삶이 바탕이 되어야 하고
한 걸음 한 걸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함께 손잡고...
48675 관계에 대해 좋은 통찰력을 얻게 되는 긍정훈육법을 접하게 되어 너무 감사드립니다.
친절하고 단호한 교사의 비법, 학급긍정훈육법-직무
ex***

교실 수업을 잘 하기 위해 여러가지 수업 방법을 참여하는 연구회 활동, 또 연수, 관련 서적 등을 통해 배우고, 수업 자료 등 준비를 하는데 시간을 많이 보낸 지난 몇 년 간이었습니다. 하지만 중학교 남자 학생들과의 수업에서 관계에서 어떻게 경계를 세워야 할 지,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과 문제 행동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다루어야 할 지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었고 늘 풀리지 않는 고민을 갖고 있었고, 이렇다 할 해결이나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한 해 한 해 보낸 것 같습니다. 그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된 연수를 찾는 중 본 연수를 선택해서 듣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해결 방법이나 기술보다 서로 존중하는 관계를 만드는 것의 중요성, 상대학생를 바뀌게 하는 방법보다 나 자신을 먼저 바꾸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긍정훈육법의 철학이나 방향이 마음에 다가왔고 동의가 되었습니다. 사실 그동안 학생들을 잘 잡지?는 못해도 인격으로 소중하게 한 명 한 명 대해 왔던 자신의 행동을 인정받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을 통제하는 기술도 필요하겠지만,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면서 학생들에게 격려를 하여 그들이 용기있게 자기를 존중하며 또 발표 등을 통해 표현하도록 본 연수의 과정들을 다시 복습하여 적용해 보고 싶습니다. 훈육의 바탕과 근거가 긍정적인 요소들, 격려, 민주적 의사소통, 상호존중하는 관계에 있음을 잘 기억하면서 말이죠.
48674 와우! 신기하고 놀랍습니다.
ARROW ENGLISH-직무
fr***

와우!
연수 하는 내내 감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주어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말하고 해석하는 영어라니요.
원어민처럼 사고 한다는 원리와 강사님의 설명이 너무나 획기적이고 깨달음을 주는 방법이었습니다.
연수를 마치고 영어로 말하기와 해석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확 줄었고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수업을 거듭할 수록 놀랍고 시원했습니다.
아들과 남편에게도 이 연수에 대해 강력 추천했습니다.
이런 연수를 준비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48673 이 강의를 듣고
PBL수업 실천 공식-직무
su***

그 동안의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 학생 중심의 수업으로 바꿔보고 싶었는데, 늘 다시 교사 중심으로 돌아오곤 했습니다. PBL 수업으로 학생 중심 수업을 실천해 보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48672 학급운영의 꿀팁ft.비폭력대화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직무
ra***

학교에서 교사로 산다는 것에 대한 고민들을 나누고, 그것들을 헤쳐나갈 수 있는 희망을 주는 연수입니다. 학생,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에서 오는 많은 어려움들에 대해 교사들에게 따뜻한 위로를 건내는 연수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48671 행복교실
지니샘의 행복한 교실 만들기-직무
su***

행복교실 복습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와 교사가 모두 행복한 교실을 만들어가겠습니다
48670 회복적 정의와 써클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직무
ps***

학급 운영이나 학교 근무 중 동료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부를 더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48669 공동체로 살아간다는 것
참여와 소통으로 행복한 교사되기-직무
gi***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공동체로 만들어간다는 것이 아름다운 꿈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너무 어렵기 때문에 막막할 때가 너무 많은데 연수를 들으면서 희망적으로 마음이 바뀌는 것 같습니다. 특히 동료 교사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갈 것인지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48668 비폭력 대화의 실제적인 모델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직무
go***

비폭력 대화의 모델을 학습하며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단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